가트너(Gartner)가 전 세계 생성형 AI 스마트폰에 대한 최종 사용자 지출이 2025년 말까지 총 2,982억 달러에 달해 전체 AI 최종 사용자 지출의 20%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생성형 AI 스마트폰이란 소규모언어모델(SLM)을 실행할 수 있는 내장형 뉴럴 엔진(Neural Engine) 또는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한 기기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350달러 미만의 기본형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 란짓 아트왈은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가 텍스트나 터치 기반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음성 상호작용은 제한적”이라며, “점차 대화형 AI가 자연스럽게 스며들며 사용자는 AI를 단순한 반응형 도구가 아닌, 능동적인 디지털 동반자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트너는 모바일 벤더가 온디바이스 생성형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면서, 2026년 생성형 AI 스마트폰 출하량이 올해 대비 51% 증가하고, 최종 사용자 지출이 32% 증가해 3,93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2029년까지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100%가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트왈은 “새로운 NPU의 확산은 생성형 AI 실행 속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사용자 또한 최적의 경험을 위해 최신 스마트폰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를 고려하게 될 것”이라며, “올해 안에 대부분의 프리미엄 생성형 AI 스마트폰에 NPU가 탑재되고, 기본형 모델의 41%도 NPU를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트너는 또한 2027년까지 40 TOPS(초당 40조 회 연산) 이상의 연산 성능을 갖춘 온디바이스 NPU가 프리미엄 생성형 AI 스마트폰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멀티모달 AI 워크로드를 과도한 전력 소모 없이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