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By 편집부

IBM, ‘IBM AI 서밋 코리아’ 개최··· “AI는 아키텍처와 실행 전략이 중요”

한국IBM이 16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IBM AI 서밋 코리아(IBM AI Summit Korea)'를 개최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기업 혁신 전략을 소개했다. 

IBM korea
Credit: 한국IBM

한국IBM 이수정 사장은 개회사에서 “AI는 지금 이 순간 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이라며, AI가 산업과 기업의 구조를 재정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왓슨x(watsonx) 플랫폼을 중심으로 IBM이 AI를 직접 자사 비즈니스에 도입해 검증한 ‘클라이언트 제로(Client Zero)’ 사례를 소개하며, 기업들이 AI를 통해 실질적인 생산성과 효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설명했다. 특히 각 산업과 업무 영역에 특화된 AI 모델의 필요성과, 이를 통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을 제시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IBM 아시아 태평양 총괄 사장 한스 데커스는 “AI는 기업의 미래를 재설계하는 도구이며, 그 중심에는 데이터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IBM이 직접 경험한 혁신 사례를 통해, AI 도입은 기술 자체보다도 아키텍처와 실행 전략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부분의 기업이 클라우드와 AI를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수익(ROI)을 실현한 비율은 25%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IBM의 왓슨x 포트폴리오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해법임을 제시했다. 그는 “AI,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양자 기술의 융합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IBM이 한국에서의 기술 투자와 교육을 통해 디지털 역량 강화에 앞장서고 있음을 밝혔다.

특별 강연에는 궁금한뇌연구소 대표 장동선 박사가 참여해, 뇌과학 관점에서 본 AI 시대의 인간과 기술의 공존에 대해 통찰을 제시했다.

현장 전시에서는 IBM의 왓슨x 기술이 실제 기업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페르소나 기반 AI 여정’이 눈길을 끌었다. 인사, 구매, 영업 등 현업 부서와 AI 혁신팀, 데이터팀, IT 운영팀 등 기술 조직을 각각의 페르소나로 설정하고, 각 조직이 직면한 과제를 AI가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시나리오 중심으로 구성했다. 예를 들어, HR 부서는 채용 프로세스 자동화와 직원 경험 개선, 영업 부서는 예측 기반 고객 관리, IT 운영 부서는 운영 리스크 탐지 및 자동 대응 등 각 부서의 니즈에 맞춘 왓슨x 기반 AI 활용 사례가 전시되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기술 중심이 아닌 업무 중심의 AI 적용 방식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다.

한편 최근 폐막한 2025 US 오픈 테니스 대회에서 실제 적용된 IBM의 AI 기술이 ‘콜링 더 샷(Calling the Shots)’이라는 인터랙티브 탁구 게임으로 구현됐다. 이 체험형 전시는 탁구 경기를 AI가 직접 판정하고, 선수의 움직임을 분석해 재미있는 해설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IBM은 이를 통해 스포츠 분야에서의 AI 적용 사례를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다른 산업에서도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특히 콜링 더 샷은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AI가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반응하는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으로 작용했다.

IBM은 이번 서밋을 통해 기업들이 AI 기술을 단순한 도입을 넘어,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특히 왓슨x 플랫폼이 기업의 자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AI 모델을 구축하거나 원하는 다양한 오픈 소스 AI모델을 가져와, 이를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dl-ciokorea@foundryc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