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 뉴스, 하우투, 기획, 리뷰 및 동영상
페이스북이 작년 가을 변경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정책과 관련해 다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이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지긋지긋해하는 사용자가 임계점을 넘어설지도 모른다.
주차장에 가면 기업 보안에 대한 좋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여러 자동차 전문가들은 자동차를 ‘보안 부문에서 최악의 사례’
유비쿼터스 보안 카메라가 도처에 설치된 사회에서 대부분 사람들은 정부나 사설기관 등 일정 형태의 빅브라더(Big Brother)가 자신을 감시하
익숙한 시나리오가 하나 있다: 기업 보안 팀이 기업의 네트워크를 잠그고 싶어 한다. 그럴 필요가 있다고 강변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팀은 그
해킹된 CCTV 단말기 수천 대, 디도스 공격에 이용돼
개인 파일을 암호화하여 대가를 받고 돈을 요구하는 "크립토 랜섬웨어" 또는 "랜섬웨어"에 관해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맬웨어가 처음 뿌리를 내리면 겉으로 잘못된 점
* 본 기고문은 업체 관계자가 작성한 것이지만 업체 솔루션이나 시각과 관련한 내용을 직접 포함하지 않도록 네트워크 월드 편집진의 수정을 거쳤다.
애널리틱스가 여러 IT 분야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는 활용처의 경우, 정보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
거품이 낀 블록체인 기술에 투자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이 기술이 이미 본격적으로 구현됐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무리가 아니
지난해 해커들이 원격으로 지프 체로키를 해킹해 제어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자동차 업계에 위험을 보내는 신호가 됐다.